아기를 유모차에 태우고 외출하던 첫 날은 정말 잊지 못할 것 같아요.
저희 아기는 등센서가 수시로 작동하던 아기라 대부분의 시간을 품에 안고 지냈거든요. 그래서 외출 시에 아기띠가 필수였죠. 하지만 아기가 점점 무거워지면서 아기띠를 오래하면 허리가 아프기 시작하더라고요. 그래서 유모차를 도전해봤는데 생각보다 잘 타더라고요. 그 뒤로부터는 외출할 때 유모차가 필수템이었는데요.
오늘은 아기 유모차 종류와 고르는 방법 등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아기유모차 꼭 필요할까요?
외출 시 아기 유모차 없이 아기띠로 다닐 수도 있어요. 하지만 장시간 아기띠를 착용하고 아기짐까지 들고 다닐 경우 허리, 어깨 등에 무리가 갈 수 있기 때문에 유모차를 구매하는 것이 좋아요.
유모차는 쇼핑, 산책 등 다양한 장소에서 아기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요. 물론 아기띠도 그렇긴 하지만 유모차에 태워 다닐 수 있기 때문에 허리, 어깨 등의 부담을 없앨 수 있어요. 또한 아기가 아기띠에서 세워진 상태에서 자는 것보다 누워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편안한 휴식을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아기랑 외출해보시면 알겠지만 기저귀, 젖병, 물티슈, 손수건, 간식, 장난감… 등 외출을 위해 가져가야 하는 물건이 생각보다 많아요. 아기를 안고 짐을 넣은 가방까지 들고 다니면 너무 무겁고 힘들지만 유모차를 가지고 다니면 유모차 손잡이 부분에 가방을 걸 수 있고 하단에 짐을 실을 수도 있어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어요.
아기 유모차 구입 시 고려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아이의 안전과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잠금장치, 바퀴의 흔들림, 내구성, 프레임 등 안전한 소재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유모차마다 각도 조절방식도 다르고 안전벨트도 버클식, 자석방식으로 종류가 다양한 편이기 때문에 부모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쉽게 조작이 가능한지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신생아는 머리가 흔들리는 것이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신생아부터 태울 계획이라면 튼튼하고 안전한 디럭스 유모차를 구입하는 것이 좋고 영유아 시기에 태울 계획이라면 스스로 몸가누기가 가능하고 아기위 외출을 자주하게 되기 때문에 절충형이나 휴대용 유모차를 구입하는 것이 좋아요. 태어난 시기도 매우 중요한데요. 겨울에 태어날 경우 추운 날씨로 인하여 아기를 태우고 산책하기 어렵기 때문에 산책이 가능한 시기 등을 고려하여 유모차 구입을 계획하는 것이 좋아요.
집 앞에 산책, 가까운 마트 쇼핑 등 가까운 곳에서만 사용할 것이라면 디럭스 유모차를 선택하는 것도 좋지만 여행을 자주 다니거나 차량 이동을 통한 외출이 잦을 시에는 절충형 또는 휴대용 유모차를 구입하는 것이 좋아요.
유모차는 부피가 작은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보관할 장소에 따라서도 어떤 제품을 구입할지 달라질 수 있어요. 물론 아이를 태우는 시기와 용도가 가장 중요하지만 다음으로는 어디에 보관할지도 중요합니다. 집 현관, 자동차 등 주로 보관하고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서도 고민해볼 필요가 있어요.
저도 구매하며 느꼈지만 아기 유모차는 20~30만원의 저렴한 것부터 100만원이 넘는 가격까지 다양한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어요. 같은 디럭스라도 브랜드, 제품별로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예산으로 구입할 것인지도 중요해요.
아기 유모차 종류별 추천제품 알려드릴게요.
디럭스형 유모차
신생아부터 사용이 가능하고 유모차 중 가장 크고 튼튼한 편이에요. 바퀴와 몸체가 크고 튼튼하여 안전한 편으로 안정감 있는 승차감과 편안한 핸들링으로 충격을 최소화시켜 주지만 무겁고 공간차지가 큰 편이에요.
절충형 유모차
디럭스와 휴대용 유모차의 장점을 결합하여 만든 제품으로 디럭스보다는 가볍고 휴대용보다는 좀 더 무게감이 있는 편이에요. 디럭스 유모차의 축소판으로 생각해볼 수 있어요.
휴대용 유모차
가볍고 부피가 작아 여행 시 휴대하기 편리한 편이에요. 기내반입이 가능한 제품이 많기 때문에 해외여행 등에서도 가지고 다닐 수 있어요. 하지만 가볍고 부피가 작은만큼 핸들링과 승차감이 디럭스에 비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바닥의 충격이나 흔들림이 아기에게 전달될 수 있어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