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 착상혈 생리혈 차이 및 특징 </strong> 임신 초기, 착상혈과 생리혈 구별이 참 어렵죠. 저도 임신 초기 소량의 출혈이 보여 설마 임신인가? 하며 테스트기를 했더니 옅은 두줄이 보이더라고요. 저는 3주 때 일찍 알게 된 편이라 바로 병원에 가서 임신 확인을 받았던 기억이 나요. 임신을 기다리시는 분들, 소량의 출혈이 착상혈인지 생리혈인지 구별이 어려우실 때 있으시죠? 그래서 오늘은 착상혈과 생리혈 차이 및 특징을 아래에서 정리해보았어요. <h2><strong>착상혈이란</strong></h2> 착상혈은 수정란이 자궁 내막에 착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합니다. 임신이 이루어지면 수정된 난자가 자궁 내막에 자리잡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궁 내막의 작은 혈관들이 손상되면서 소량의 출혈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착상혈은 임신 초기 증상 중 하나로 모든 임산부에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일부 임산부에게서 가벼운 출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ul> <li>임신 극초기 증상으로 30% 미만에게 있는 증상이라고 합니다.</li> <li>난자가 배란되고 수정 이후 6~12일 이내가 착상혈이 나오는 시기라고 합니다.</li> <li>착상혈 원인 : 수정란이 자궁내막을 파고드는 과정에서 생긴다는 설명과 여성 호르몬의 균형이 일시적으로 변화하여 생긴다고 합니다.</li> <li>착상혈 치료 : 착상혈은 따로 치료는 필요하지 않으며 임신 가능성 확인을 위해 테스트기를 해보거나 병원에 방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li> </ul> <h2><strong>생리혈이란</strong></h2> 생리혈은 임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궁 내막이 탈락하며 발생하는 출혈입니다. 월경주기 동안 자궁 내막은 임신을 위해 두꺼워지는데 이 때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궁 내막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몸에서 자연스럽게 배출됩니다. 이것이 바로 생리이며 한달주기로 발생, 보통 3~7일정도 출혈이 지속됩니다. <h2><strong>착상혈과 생리혈의 차이</strong></h2> <table style="border-collapse: collapse; width: 77.7416%; height: 151px;"> <tbody> <tr> <td style="width: 15.013%; text-align: center;"></td> <td style="width: 43.464%;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strong>착상혈</strong></span></td> <td style="width: 41.5229%;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strong>생리혈</strong></span></td> </tr> <tr> <td style="width: 15.013%;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strong>양</strong></span></td> <td style="width: 43.464%;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500원 정도 크기의 소량</span></td> <td style="width: 41.5229%;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착상혈의 30배 이상</span></td> </tr> <tr> <td style="width: 15.013%;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strong>기간</strong></span></td> <td style="width: 43.464%;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2~3일</span></td> <td style="width: 41.5229%;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3~7일</span></td> </tr> <tr> <td style="width: 15.013%;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strong>통증</strong></span></td> <td style="width: 43.464%;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왼쪽 혹은 오른쪽 아랫배에서 콕콕 찌르는 통증</span></td> <td style="width: 41.5229%;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배꼽 아래 중앙 부분에서 쑤시는 통증</span></td> </tr> <tr> <td style="width: 15.013%;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strong>색상</strong></span></td> <td style="width: 43.464%;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분홍 혹은 갈색</span></td> <td style="width: 41.5229%; text-align: center;"><span style="color: #000000;">붉거나 진빨강</span></td> </tr> </tbody> </table> <ul> <li><strong>출혈의 양</strong> : 착상혈은 매우 소량의 출혈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피가 묻어나는 정도로 속옷에 소량의 혈흔이 남거나 아주 가벼운 출혈을 보입니다. 이 때문에 일부 임산부들의 경우 생리가 시작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착상혈은 생리혈보다 양이 적은 편입니다. 보통 500원짜리 동전 크기의 소량이 나옵니다. : 생리혈은 보통 착상혈보다 많이 나옵니다. 착상혈의 30배 이상의 출혈이 나오기 때문에 패드를 자주 교체해야 할 정도로 출혈량이 많을 수 있습니다.</li> <li><strong>출혈의 기간</strong> : 착상혈은 일반적으로 1~3일 지속되지만 양이 적고 짧은 기간 안에 멈추는 것이 특징입니다. 만약 3일 이상 지속된다면 착상혈일 가능성은 낮아집니다. : 생리혈은 보통 3~7일 정도 지속되며 초반에 출혈량이 많고 시간이 지나며 점차 줄어드는 패턴을 보입니다. 또한 생리주기에는 출혈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착상혈과 달리 일정한 양의 출혈이 계속됩니다.</li> <li><strong>출혈시기</strong> : 착상혈은 보통 배란 후 6~12일 후에 발생됩니다. 임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생리 예정일보다 앞서 착상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생리 예정일보다 일찍 소량의 출혈이 발생되었다면 착상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생리혈은 주기에 따라 나타나기 때무에 생리 예정일에 맞춰 출혈이 나타난다면 생리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li> <li><strong>통증</strong> : 착상혈은 심한 통증을 동반하지 않습니다. 다만 일부 임산부들은 경미한 하복부 통증이나 약간의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착상 과저에서 자궁 내막에 약간의 자극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경미한 통증이 발생할 수는 있으나 생리통과 같은 정도의 통증은 아닙니다. : 생리혈은 생리통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궁이 수축하며 불편함과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착상혈보다는 강한 통증으로 나타납니다.</li> <li><strong>기타</strong> : 착상혈이 나타난 후 임신이 진행될 경우 피로감, 유방통증, 메스꺼움 등 초기 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생리혈은 생리 전 증후군으로 유방통증, 피로감, 기분 변화 등이 나타나지만 생리가 시작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됩니다.</li> </ul> 착상혈과 생리혈이 비슷할 수는 있지만 출혈의 양, 색, 기간, 통증 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구분하기 어렵다면 임신 테스트기를 해보는 것이 좋으며 산부인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원인을 찾아보는 것도 좋습니다.